Tunikut's Cultural Paradise

official drafts

Daft Punk [Random Access Memories] (2013, Daft Life/Columbia)

tunikut 2013. 7. 10. 02:20

 


01. Give Life Back To Music

02. The Game Of Love

03. Giorgio By Moroder

04. Within

05. Instant Crush

06. Lose Yourself To Dance

07. Touch

08. Get Lucky

09. Beyond

10. Motherboard

11. Fragments Of Time

12. Doin’ It Right

13. Contact

  

  

결국에는 음악은 가사지 싶어..”

 

나에게 음악적으로 많은 깨달음과 영감을 주셨던 예전에 알고 지내던 한 형의 말이다. 역설적이지 않나? ‘음악이 결국에 가사라는 게. 음악이 사운드지 무슨 가사야! 하며 가사의 소중함을 전혀 무시하고 음악을 들은지 15년 이상은 된 것 같다. 근데 요 몇 년간 리뷰 쓸 일이 많아져서 앨범을 들을 때 노랫말에 관심을 가지고 들어봤더니 내가 지난 15년 동안 들은 음악들은 모두 반쪽만 들었던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가사라는 건 결국 그 앨범을 만든 아티스트가 표현하고픈 이기 때문에 절대로 무시해서는 안된다. 우리 모두 가사를 꼭 신경써서 듣자. 특히 다프트 펑크(Daft Punk)의 화제의 이번 앨범 만큼은..

 

90년대 중후반 미국 음악씬에는 유난히 ‘4인방들을 많이 강조했는데 전혀 다른 음악들을 하고 있는데 단지 시애틀 출신이라는 공통점 때문에 너바나(Nirvana)-앨리스 인 체인스(Alice In Chains)-펄 잼(Pearl Jam)-사운드가든(Soundgarden)그런지 얼터너티브 4인방이라고 묶어버려서 무지한 대중들로 하여금 , 이 사람들 하는 음악을 그런지 얼터너티브라고 하는구나그런지.. 얼터너티브.. 외워야지.. 그런지...’ 이렇게 만들어버리더니, 역시나 전혀 다른 음악들을 하는 프로디지(The Prodigy)-케미칼 브라더스(The Chemical Brothers)-다프트 펑크-언더월드(Underworld)일렉트로니카 4인방으로 무슨 이가격-이구성-오늘이-마지막홈쇼핑 셋트 팩키지도 아니고 한데 묶어버려, 역시나 또 무지한 대중들로 하여금 .. 이런 게 일렉트로니카구나.. 외워야지.. 일렉트......…’ 이렇게 만들어버렸다. (미국 크리틱들 진짜 이럴래? 솔직히 일렉트로니카, EDM 이런 용어 죄다 미국 크리틱들이 만든 용어다. 그냥 댄스 뮤직이 제일 올바른 표현이고 아니면, 각 서브장르로 부르는 게 적당하다.)

 

그렇지만 빅 비트 계열 음악에 좀더 펑크(punk) 스피릿을 보여준 프로디지나 좀더 학구적이었던 케미칼 브라더스, 그리고 퓨어한 테크노에 가까웠던 언더월드에 비해 다프트 펑크는 등장부터 초신선함의 극치였다. 이들의 데뷔 앨범 [Homework]는 그 전까지 아무도 생각조차 못했던 디스코 리바이벌이란 걸 보여줬고 거기에 이따끔씩 노이즈 양념을 가미시켜 당시 음악팬들에게 적잖은 충격을 안겨주었다. (아직도 PC 통신 하이텔 채팅방에서 [Homework]야 말로 21세기의 음악이다! 라며 열변을 토하던 어떤 회원님이 떠오른다.) 이후 소포모어 앨범 [Discovery]가 데뷔작을 뛰어넘으며 초초초대박을 기록했고 그 명성과 함께 아직까지도 댄스뮤직씬의 레전드인 동시에 아이콘으로 군림하고 있다.

 

이번 앨범에 그만 별 다섯개 만점을 줘버리는 우를 범했는데 아니, 절대 명반인 [Discovery]는 그럼 어쩔 건데요?’라고 물어보면 개인적으로는 [Discovery] 4개 반 정도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은데 도대체 왜그러냐고 따진다면 자신있게 대답할 것이 [Discovery]는 듣고 안울었지만 이번 앨범은 듣고 울어버렸기 때문이다. (꼭 운다는 게 물리적 눈물흘림을 이야기하는 건 아니다.)

 

앞에서 가사 얘기 했는데 댄스 뮤직 아티스트가 가사 위주의 곡 전개를 한다는 것 자체도 굉장히 일단 신선하다. 그러다보니 밑도 끝도 없이 갑자기 발라드가 나와버려서 처음 듣다보면 왠 삽질 트랙?’ 이렇게 느껴질 수도 있는 곡들이 중간중간에 있는데, 애당초 본 앨범이 춤을 추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다기 보다는 상당한 감수성컨셉트로 만들어지다 보니 그렇게 된 거다. 앨범을 듣다보면 시종일관 무언가를 굉장히 간절하게 그리워하는정서를 느낄 수 있는데, 앨범 사전 인터뷰들을 봐도 그렇고 천편일률적인 댄스 뮤직씬에 대한 회의감에서 일단 출발했다고 봄직 하다. 몇 년 전부터 댄스 뮤직씬에서 암암리에 통용되던 말이 디제이만 있고 뮤지션이 없다라는 거였는데, 이 씬에 오랫 동안 애정을 가지고 봐왔으면 알겠지만, 정확히 2000년대 들어서면서 맹목적인 프로그레시브한 느낌의 비트들 (트랜스, 프로그레시브 하우스 등)이 기존의 하우스나 거라지(garage) 같은 소울풀한 비트들을 재치고 인기를 얻기 시작했고, 결국 2010년대 들어서면서 어떤 관점에서 보면 굉장히 경박한 막장의 극치처럼 느껴지는 일렉트로 하우스’ (박명수의 강북멋쟁이나 싸이의 젠틀맨)가 씬의 메인급으로 등장을 해버리니.. 이 씬을 거의 시작부터 봐왔던 다프트 펑크 입장에서는 “Within”에서의 가사처럼 여러 문들이 있지만 다 똑같고, 그 속에서 내가 뭘해야 되는지, 이젠 우리 이름도 까먹어버리는소탈감을 느낀 거다.

 

결국 앨범 전체를 통해 그들이 그토록 그리워하고 아쉽고 막 가슴 저미게 사무치는 그 대상은 (물론 연인일 수도 있겠으나) 그들이 가장 좋아하던, ‘옛 댄스 뮤직이라고 봤을 때, 결국 그들은 완전히 미친 시도를 해버리는데, ‘시퀀싱을 하지 않은 댄스 뮤직이라는 역사상 최고의 실험을 하게 된다. 그들이 누군가? 다프트 펑크. 다프트 펑크하면? 디스코 리바이벌. 근데 이들이 이번 앨범에서 시도한 것은 디스코 리바이벌에서 리바이벌자를 빼버리고 그냥 디스코를 실제로 만들어버린 거다. 미친 거다 이건. 악기도 옛 신디사이저를 힘들게 구해 그대로 사용하지 않았다던가? 그 뿐만 아니다. 아예 그냥 그 때의 뮤지션을 직접 불러다가 같이 연주를 해버렸다는 건데 힙합으로 치면 우탱을 너무나도 동경하는 한 힙합꼬마가 더 이상 못참고 새 앨범에 르자(RZA)를 그냥 불러 프로듀스를 맡겨버린 꼴이랄까? 디스코의 역사에서 대중들에게 가장 깊은 인상을 심어준 두 뮤지션, (Chic)의 나일 로저스(Nile Rogers)디스코의 대부조르죠 모로더(Giorgio Moroder)의 참여가 그것이다. 쉭의 앨범들에서 듣던 그 찰랑거리는 훵키한 기타 소리와 도나 서머(Donna Summer)의 노래들에서 들리던 그 좡좡좡-좌장거리는 전자 그루브를 우리들이 샘플링이 아니라 직접들을 수 있도록 만든 이 시도는, 이건 이건.. 미친 거다.

 

이 앨범의 가장 극적인 순간은 중간부에 위치한 “Touch”와 엔딩곡 “Contact”. 이 두 곡을 듣다보면 시공을 초월한 어떤 간절함 (마치 워쇼스키 남매의 최근 영화 [클라우드 아틀라스]의 테마와도 비슷한)이 있고, 그것을 실제로 죽음을 각오하고 붙잡으려하는 마지막 시도, 그리고 찬란한 종말적 죽음의 이미지가 떠오른다. “Contact” 들어보신 분들 아시겠지만, 막판에 노이즈 피치를 점진적으로 거의 극한까지 끌어올리다가 순간 펑.. 하고 기계가 멈춰버리는 장면은, 마치 멀리 외계 행성에서 살던 두 로봇이 너무나 인간이 그리워서 지구로 날아오다가 우주선 장치에 이상이 생겨 곤두박질치게 되는데 그 죽음을 앞에 둔 상황에서, 끝까지 그 간절함을 붙잡으려고 안간힘을 쓰고 사투를 벌이다가 결국 죽음을 맞게 된다는그 앨범 전체를 관통한 잔잔한 그리움을 마지막 엔딩에서 울부짖으며 토해버리는 장면은 이 앨범이 왜 그토록 명반인지를 입증하는 증거다.

 

끝내자. 우리들은 모두 로봇이 되고 싶어하는 인간인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다프트 펑크는 인간이 되고 싶어하는 로봇이다 

 

 

 

* This post was contributed to: http://hiphople.com/review/853881